알프레드 코르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프레드 코르토는 스위스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피아니스트, 지휘자, 작곡가, 음악 교육자이다. 파리 음악원에서 피아노를 전공하고 졸업 후 바이로이트 축전 극장의 부지휘자를 거쳐 지휘자로 활동했다. 바이올리니스트 자크 티보, 첼리스트 파블로 카잘스와 트리오를 결성하여 활동했으며, 에콜 노르말 드 뮈지크를 설립하여 교육에도 힘썼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시 프랑스에 협력한 혐의로 추방되어 스위스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나치 부역자 - 필리프 페탱
필리프 페탱은 제1차 세계 대전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비시 프랑스 정권 수반으로서 나치 독일과 협력한 행위로 인해 반역죄로 기소되어 유배지에서 사망한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프랑스의 나치 부역자 - 샤를 모라스
샤를 모라스는 프랑스의 정치 이론가이자 작가로, 반근대주의와 민족주의 사상을 주창하며 액시옹 프랑세즈를 통해 오를레앙 왕조 부활, 반유대주의, 대독 강경 노선을 선전하다가 비시 정권에 협력하여 옥중에서 사망했다. - 프랑스의 지휘자 - 블라디미르 코스마
루마니아 출신 프랑스 작곡가 블라디미르 코스마는 영화 음악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라붐》 주제가 등으로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고 세자르 영화제 최고 영화 음악상 2회 수상 및 레지옹 도뇌르 훈장 등을 수훈했다. - 프랑스의 지휘자 - 폴 모리아
폴 모리아는 프랑스의 지휘자이자 작곡가로, 1965년 폴 모리아 그랜드 오케스트라를 결성하여 〈Love Is Blue〉, El Bimbo 등 여러 히트곡을 발표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고, 아시아 지역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 프랑스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카미유 생상스
카미유 생상스는 1835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오페라, 교향시, 협주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많은 작품을 남긴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 프랑스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이브 나트
프랑스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이브 나트는 뛰어난 연주 실력과 교육자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파리 음악원에서 수학 후 국제적인 활동과 교수 재직을 통해 수많은 제자를 배출했고, 베토벤 소나타 전곡 녹음, 자작 피아노 협주곡 초연 등 연주 활동을 재개하며 독일 낭만파 작곡가 중심의 음악 자체에 집중하는 연주 스타일을 확립했다.
알프레드 코르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알프레드 드니 코르토 |
출생일 | 1877년 9월 26일 |
출생지 | 스위스 보주 니옹 |
사망일 | 1962년 6월 15일 |
사망지 | 스위스 보주 로잔 |
직업 | 클래식 피아니스트 지휘자 음악 교육자 음악 편집자 |
소속 | 파리 고등사범음악원 |
사용 악기 | 피아노 |
장르 | 클래식 음악 |
로마자 표기 | |
이름 | Alfred Denis Cortot (알프레드 드니 코르토) |
프랑스어 발음 | alfʁɛd dəni kɔʁto (알프레드 드니 코르토) |
영어 발음 | kɔrˈtəʊ (코토우) |
참고 | |
표기 | 프랑스어에서는 Cortôt로도 표기함. |
2. 생애
프랑스인 부모 사이에서 스위스 보주 니옹에서 태어났다.[27][18] 파리 음악원에서 루이 디에메에게 피아노를 배워 1896년 수석으로 졸업하고 피아니스트로 데뷔했다.[27][19] 그러나 바그너 음악에 깊이 매료되어 1898년부터 피아니스트 활동을 잠시 중단하고 독일 바이로이트로 가 바이로이트 축전 극장의 부지휘자를 지내며 바그너 연구에 몰두했다.[27][4] 1902년에는 지휘자로서 바그너의 《신들의 황혼》 프랑스 초연을 이끄는 등 지휘 활동에도 힘썼다.[27][4][21]
피아니스트로서의 활동도 꾸준히 이어가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연주 여행을 다녔다.[27] 1905년에는 바이올린 연주자 티보, 첼로 연주자 카잘스와 함께 '카잘스 트리오'를 결성하여 약 20년간 활동했다.[27][21] 1907년에는 모교인 파리 음악원 교수로 초빙되었다.[27] 1919년, 자크 티보 등과 함께 에콜 노르말 드 뮈지크를 설립하여 교육에도 힘썼다.[27][20] 1925년에는 미국 뉴저지에서 세계 최초의 상업용 전기 녹음을 남기기도 했다.[28]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점령 하의 비시 프랑스 정부에서 활동하며 나치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았다.[29][30][31][6][9] 전후 부역 혐의로 조사를 받고 연주 활동이 금지되었으며,[10] 이후 스위스로 추방되어 만년을 보냈다.[33] 1962년 6월 15일 스위스 로잔에서 신부전에 의한 요독증으로 사망했다.[34]
2. 1. 초기 생애
프랑스인 아버지와 스위스인 어머니 사이에서 스위스 보주 니옹에서 태어났다.[1][18] 국적은 프랑스였다.[1] 그의 사촌은 작곡가 에드가르 바레즈였고,[2] 조각가 장-피에르 코르토도 친척이었다.처음에는 두 누나에게 피아노를 배우다가 파리 음악원 예비과에 입학하여 프레데리크 쇼팽의 제자였던 에밀 드콩브에게 배웠고,[19] 고등과에서는 루이 디에메에게 사사했다.[19][27] 예비과에서 낙제하거나 카미유 생상스에게 혹평을 받는 등[20] 초기 음악원 평판은 좋지 않았으나, 1896년 쇼팽의 발라드 4번 연주로 1등상(premier prix|프르미에 프리프랑스어)을 받으며 수석으로 졸업했다.[19][27]
1897년 콜론느 음악회에서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3번을 연주하며 피아니스트로 데뷔했다.[4] 그러나 바그너 음악에 깊이 매료되어 1898년 피아니스트 활동을 잠시 중단하고 독일 바이로이트로 가서 1901년까지 바이로이트 음악제의 합창 지휘자 및 부지휘자로 활동하며 바그너 연구에 몰두했다.[27][4] 1902년에는 바그너의 악극 《신들의 황혼》(Götterdämmerung|괴터데머룽de)의 파리 초연을 직접 지휘했으며,[27][4] "소시에테 데 콩세르"(Société des Concerts|소시에테 데 콩세르프랑스어)[3]라는 연주 단체를 조직하여 바그너, 베토벤(미사 솔렘니스), 브람스(독일 레퀴엠) 등의 작품과 프랑스 작곡가들의 신작을 소개하며 지휘자로서도 활약했다.[4][21]
지휘 활동 중에도 피아노 연주를 병행하며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연주 활동을 이어갔다.[27] 1905년에는 바이올린 연주자 티보, 첼로 연주자 카잘스와 함께 '카잘스 트리오'를 결성하여 이후 약 20년간 실내악 연주에서도 명성을 떨쳤다.[27][21] 1907년에는 가브리엘 포레의 초청으로 모교인 파리 음악원 교수로 취임했다.[27]
2. 2. 바그너와의 만남과 지휘 활동
파리음악원을 1896년 수석으로 졸업하고 피아니스트로 데뷔하였으나,[27] 바그너에게 깊이 매료되었다. 그는 선배 에두아르 리슬레르를 따라 바이로이트로 가서 1896년부터 1897년까지 바이로이트 축제의 조수를 지냈으며, 이후 바이로이트 축전 극장의 부지휘자가 되었다. 1898년에는 피아니스트로서의 연주 활동을 중단하고 바그너 연구에 몰두하였다.1902년경부터는 지휘자로도 활동하기 시작하여, 바그너의 《신들의 황혼》 프랑스 초연(1902년)을 직접 지휘하였다.[21] 이 외에도 다양한 바그너 작품을 다루며 프랑스 내에서 바그너 음악을 널리 알리는 데 힘썼다.
2. 3. 카잘스 트리오 결성과 연주 활동
1905년 바이올리니스트 자크 티보와 첼리스트 파블로 카잘스와 함께 '카잘스 트리오'를 결성하였다.[27][21] 이 트리오는 당대 최고의 피아노 트리오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약 20년간 명성을 누렸고,[27] 1920년대 후반까지 활동하며 훌륭한 연주를 선보였다.[21] 그러나 코르토와 티보 사이의 관계가 소원해지면서 결국 해산하였다.[21]2. 4. 교육 활동과 에콜 노르말 드 뮈지크 설립
1907년, 가브리엘 포레의 후임으로 모교인 파리 음악원 교수로 임명되어 라울 푸뇨를 대체했다. 그는 1923년까지 파리 음악원에서 강의했으며, 그의 제자로는 이보느 르페뷔르, 블라도 퍼르뮈테르, 시몽 플레-코사드, 마들렌 브라르, 마르게리트 몽노, 로디카 수추 등이 있다.그러나 코르토는 당시 파리 음악원의 교육 방식에 대해 "피아니스트가 되면 피아노밖에 할 줄 모르게 되는 획일적인 시스템"이라고 비판하며 개혁의 필요성을 느꼈다.[20] 이러한 이상을 실현하고, 당시 다소 침체된 프랑스 음악 교육계에 국제적인 새 바람을 불어넣기 위해 1919년, 친구인 바이올리니스트 자크 티보 및 오귀스트 망조(Auguste Mangeot)와 함께 파리에 에콜 노르말 드 뮈지크를 설립했다. 같은 해 코르토는 파리 음악원 교수직을 사임하고 새로 설립한 에콜 노르말 음악원의 교육에 전념했다.
에콜 노르말에서 그가 진행한 음악 해석 강좌는 전설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아침부터 활발하게 공개 레슨을 열어 많은 학생에게 영향을 주었다. 에콜 노르말 음악원에는 그의 공적을 기려 이름 붙여진 Salle Cortot|살 코르토fra라는 콘서트홀이 있다.[22] 코르토는 제자들에 대한 애정이 깊었는데, 특히 Dinu Lipatti|디누 리파티ron가 콩쿠르에서 우승하지 못하자 심사위원직을 사퇴하며 그를 옹호하고 데뷔를 적극적으로 도왔던 일화는 유명하다.[22] 이러한 활동을 통해 코르토는 피아노 교육을 중심으로 현대 프랑스 음악계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2. 5.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 협력 논란
제2차 세계 대전 중 알프레드 코르토는 나치 독일 점령 하의 비시 프랑스 정부에 협력했다.[29][30][31] 그는 비시 정부의 예술 고등판무관(Haut-Commissaire) 직을 수락했으며, 1941년과 1942년 두 차례에 걸쳐 비시 정부의 국민의회(Conseil national) 위원으로 활동했다.[6][7][8] 코르토는 필립 페탱 정부로부터 음악 분야 개혁 임무를 부여받았고,[9] 1942년에는 피에르 라발, 페탱과 함께 '음악 전문 조직 위원회'(comité d'organisation professionelle de la musique)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비시 정부의 음악계 장악에 일조했다.[9]코르토는 독일 점령군이 주최한 행사에 참여하기도 했다. 1941년에는 파리에서 열린 독일 선전 부대(Propaganda Staffel) 축제에 참가했고,[9] 1942년에는 나치 조각가 아르노 브레커의 미술 전시회 개막식에서 피아니스트 빌헬름 켐프와 함께 연주했다.[9][6] 이후 작가 폴 모랑의 집에서 브레커를 만났는데, 이 자리에는 피에르 라발도 참석했다.[9] 그는 점령 기간 동안 파리에서 열린 공식 연주회에 참여했으며, 1942년에는 독일에서도 연주회를 가졌다.[6]
그러나 코르토의 협력 행위에 대해서는 다른 시각도 존재한다. 데이지 팬코트(Daisy Fancourt)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사실, 1943년 2월 코르토는 히틀러가 도입한 강제 노동 징용(Service du travail obligatoire)에 음악가들이 참여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는데, 그 이유는 그렇게 하면 미래의 음악 경력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는 또한 음악가 수감자들이 독일 오케스트라에 합류할 수 있도록 촉구했다. 1943년 5월 그는 20명의 음악가 수감자를 석방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그의 활동은 폴란드 소프라노 마리아 프뤕트(Marya Freund)와 같은 유대인 음악가들을 위해 싸우는 것까지 확대되었다. 그녀가 1944년 체포되어 드랑시(Drancy)로 이송된 후, 코르토는 그녀가 병원으로 이송되도록 도와 생존하고 탈출할 수 있도록 했다. 코르토는 프랑스인이 아니라 스위스인이었고, 많은 다른 프랑스 음악가들이 나치를 피해 미국으로 이민을 간 것과 같은 민족주의적 감정을 프랑스에 대해 느껴본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대인 출신 여성과 결혼했지만(소원했지만), 프랑스의 첫 번째 유대인 총리 레옹 블룸(Léon Blum)과 같은 유대인 지식인들과 친구였다."[9]
전쟁이 끝난 후, 코르토는 프랑스 정부의 조사 위원회로부터 부역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1년간 프랑스 내에서의 연주 활동이 금지되었다.[10] 그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 "나는 50년 동안 프랑스의 대의를 위해 헌신해왔다. [...] 동료들의 이익을 위해 참여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거절할 수 없다고 느꼈다. [...] 나는 프랑스 정부의 이익보다는 프랑스의 이익을 대변했다. [...] 나는 정치에 관여한 적이 없다"고 항변했다.[9] 연주 금지 조치가 만료된 후 한 시즌에 100회 이상의 연주회를 열기도 했으나,[7][32] 결국 추방되어[33] 스위스에서 여생을 보냈으며, 1962년 6월 15일 스위스 로잔에서 신부전으로 인한 요독증으로 사망했다.[34]
2. 6. 죽음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치하의 비시 프랑스에 협력했다는 이유로[29][30][31] 전후 프랑스에서 추방되었다. 잠시 추방이 유예되었을 때 프랑스로 돌아와 100여 개의 공연을 열기도 했으나,[32] 결국 다시 추방되어 스위스에서 만년을 보냈다.[33] 1962년 6월 15일 스위스 로잔에서 84세의 나이로 신부전으로 인한 요독증으로 사망했다.[34][11]3. 음악 성향
알프레드 코르토는 피아니스트로서 독일 후기 낭만주의 정신을 프랑스에 도입하여 20세기 전반 프랑스 피아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음악의 외면적 효과보다는 내면의 주관성을 중시할 것을 강조했다. 코르토는 특히 쇼팽, 슈만, 프랑크, 드뷔시의 작품 해석에서 독특한 면모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독일적 정신의 프랑스화"에 기반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연주는 템포의 유연한 움직임, 리듬의 자유로움, 내용의 깊이, 풍부한 색채감, 극적인 명암 대비 등이 특징이며, 이는 바그너의 영향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의 대표적인 명연주로는 쇼팽의 거의 모든 작품, 슈만의 주요 작품들, 드뷔시의 <전주곡집> 등이 꼽힌다.
코르토는 쇼팽, 슈만, 드뷔시의 가장 유명한 해석가 중 한 명으로, 이들 작곡가의 피아노 작품 악보를 직접 편집하여 출판했다. 이 악보들은 기술적인 문제와 해석에 대한 상세한 주석이 포함되어 있어 교육적으로도 가치가 높다.[13] 그의 연주는 아름다운 터치와 개성적인 템포 루바토를 특징으로 하며, 깊은 시정과 다채로운 감정을 표현하여 청중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그러나 코르토는 연주회에서 종종 기억력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특히 1940년대 이후의 연주와 후기 녹음에서는 음을 틀리는 경우가 있었다.[14]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성기 시절 그는 거의 모든 종류의 피아니즘을 소화할 수 있는 뛰어난 테크닉을 지녔다. 이러한 기량은 리스트의 b단조 소나타(이 곡의 최초 녹음)나 생상스의 ''왈츠 형식의 연습곡'' 녹음 등에서 잘 드러난다. 특히 생상스의 곡 연주는 호로비츠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으며, 호로비츠가 연주 비법을 배우려 했으나 코르토가 거절했다는 일화도 있다.[15]
코르토의 레퍼토리는 주로 쇼팽, 슈만 등 낭만파 작곡가들과 프랑크에서 드뷔시에 이르는 프랑스 근대 음악가들에 집중되어 비교적 좁은 편이었다. 이는 당시 녹음 기술의 한계나 청중의 취향 등 외부 요인에 의한 제약도 있었기 때문이다.[25] 그는 모차르트를 높게 평가하지 않아 그의 작품에 대한 "학습판" 악보는 출판하지 않았다. 베토벤에 대해서는 존경심을 표했지만 녹음은 많지 않다. 다만, 스위스에서 녹음된 협주곡 제1번이 사후에 공개되었고[26], 말년에는 피아노 소나타 전곡 녹음을 검토하기도 했으며 일부 녹음 테이크가 남아있다.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코르토는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피아노 연주 기법의 합리적 원리''와 같은 교본을 저술하여 피아노 연주 기법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연습 방법을 제시했다.[16] 또한, 사라베르(Salabert) 출판사에서 출판된 "코르토 판" 악보(쇼팽, 슈만 등)는 연주법뿐만 아니라 작품의 역사적 배경까지 상세히 설명하여 초심자들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이 악보들과 『쇼팽』, 『프랑스 피아노 음악』 등의 저서 중 일부는 한국어로도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4. 교육 철학 및 방법
코르토는 연습 시간에 대해 “하루에 오전을 중심으로 5시간 이내로 연습하도록” 했다고 전해진다. 이는 쇼팽의 “피아노는 하루 3시간이고, 피곤하면 그때그때 쉬도록”이나, 기오마르 노바이스의 “남편에게서 3시간 이상 치지 말라고 합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와 유사한 연주 철학을 보여준다. 이는 프란츠 리스트가 “무거운 피아노로 하루 6시간” 연습을 강조했던 것과는 다른 접근이다. 코르토는 쇼팽의 입장을 따르며, 연주 시 불필요한 움직임을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지판법 확립에 힘썼다.
코르토의 직접적인 지도를 받은 제자로는 디누 리파티, 클라라 하스킬, 엔야마 케이코, 에릭 하이드셰크 등이 유명하다. 이들 각자가 강한 개성을 지닌 연주자로 성장한 것을 보면, 코르토는 각 피아니스트의 개성을 존중하는 지도 방식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하스킬이 사망했을 때 애도 메시지를 남기기도 했으나, 하스킬이 파리 음악원에 재학 중일 때는 다소 냉담하게 대했으며 지도를 동료인 라자르 레비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았다.
에콜 노르말 드 뮈지크 드 파리에서의 마스터 클래스에서 코르토의 지도는 “마치 시인의 낭독과 같았다”고 평가될 정도로 매우 풍부한 어휘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말을 아끼고 간결하게 지시했던 마르그리트 롱의 공개 강좌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5. 저서 및 악보
쇼팽, 슈만, 드뷔시의 저명한 해석가였던 코르토는 이들 작곡가의 피아노 작품에 대한 악보 편집에도 힘썼다. 그가 편집한 악보, 특히 사라베르(Salabert) 출판사에서 출판된 "학습판(Édition de travail프랑스어)" 악보는 흔히 "코르토 판"으로 불린다. 이 악보들은 기술적인 문제와 해석에 대한 세심한 해설을 포함하고 있으며, 연주 방법을 모르는 초심자를 위해 작품의 역사적 배경부터 구체적인 연주법까지 상세히 다루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13] 코르토는 모차르트를 높게 평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모차르트 작품의 "학습판"은 출판하지 않았다.
코르토는 피아노 연주 기법에 관한 교육적인 저술도 남겼다. 피아노 테크닉 향상을 위한 다양한 손가락 연습법을 담은 ''피아노 연주 기법의 합리적 원리''[16]와 피아노 연주의 메커니즘을 체계적으로 다룬 『교본』(한국어 번역: 『코르토의 피아노 메소드』)이 대표적이다. 그 외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6. 대표적인 음반
피아니스트로서 알프레드 코르토는 쇼팽, 슈만 등 낭만파 작곡가와 프랑크에서 드뷔시에 이르는 프랑스 근대 음악을 중심으로 한 레퍼토리를 주로 연주했다. 당시 녹음 기술의 한계와 대중의 취향 때문에 연주하지 못한 곡도 많았다.[25] 그의 연주는 아름다운 터치와 개성적인 템포 루바토를 특징으로 하며, 깊은 시정과 다채로운 감정을 표현하여 청중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1925년 3월 21일, 코르토는 미국 뉴저지주 캠던에 있는 빅터 토킹 머신 컴퍼니에서 세계 최초로 클래식 음악 상업용 전기 녹음을 진행했다. 이때 쇼팽의 즉흥곡과 슈베르트의 '리타나이'(Litaneideu)가 레드 실 레이블로 발매되었다.[5]
코르토의 대표적인 녹음은 다음과 같다.
- 바그너: 트리스탄과 이졸데 중 '사랑의 죽음' - 1902년 녹음된 초기 음반 중 하나로, 프랑스어로 노래하는 Félia Litvinne|펠리아 리트빈fra의 피아노 반주를 맡았다.
- 쇼팽: 24개의 전주곡 - 1920년대부터 1957년까지 총 5차례 전곡 녹음을 남겼으며, 모두 복각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1955년 뮌헨 라이브 녹음이 유명하다.
- 슈만: 어린이 정경, 교향적 연습곡, 크라이슬레리아나 등에서 뛰어난 해석을 보여주었다. 특히 SP 레코드 시대에 녹음된 피아노 협주곡은 후대의 많은 피아니스트에게 영향을 주었다.
- 리스트: 피아노 소나타 - 리스트의 녹음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기교를 과시하기보다 작품의 깊은 감정을 표현한 연주로 높이 평가받는다.
- 라벨: 뮌슈가 지휘하는 파리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은 프랑스 음악 연주의 정점으로 꼽힌다. 연주 중 실수가 있기도 하지만, 특히 카덴차 부분의 풍부한 시적 표현은 다른 연주자들을 압도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 프랑크: 교향적 변주곡 - 코르토 전성기의 대표적인 연주로,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을 보여주며 현재까지도 최고의 연주 중 하나로 복각되고 있다.
- 브람스: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이중 협주곡 - 코르토가 지휘자로 참여한 드문 녹음 중 하나이다. 티보, 카잘스와 함께 연주했으며, 피아노 독주처럼 유연하게 변화하는 템포와 빈틈없는 호흡이 특징이다.
-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1번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에서 연주 활동이 어려워졌을 때 스위스 로잔에서 가진 라이브 연주 녹음으로, 사후에 공개되었다.[26] 코르토는 베토벤을 존경했지만 녹음은 많이 남기지 않았다. 말년에는 피아노 소나타 전곡 녹음을 계획하기도 했으나, 일부 테이크만 남아있다.
코르토는 수많은 녹음 외에도 『쇼팽』, 『프랑스 피아노 음악』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사라베르(Salabert) 출판사에서 출판된 "코르토 판" 악보(쇼팽, 슈만 등)와 피아노 연주법을 다룬 『교본』(한국어 번역: 『코르토의 피아노 메소드』)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코르토 판" 악보는 초심자를 위해 상세한 해설을 덧붙인 것이 특징이다. 다만 코르토는 모차르트를 높이 평가하지 않아 모차르트 작품의 "코르토 판"은 출판되지 않았다.
참조
[1]
논문
Alfred Cortot musicien du XXe siècle, perspectives biographiques
https://gallica.bnf.[...]
2012
[2]
서적
Correspondance 1931–1965
Contrechamps
[3]
웹사이트
Alfred-Denis Cortot {{!}} French pianist
https://www.britanni[...]
2021-08-28
[4]
백과사전
Cortot, Alfred
https://www.oxfordmu[...]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40,000 Years of Music: Man in Search of Music
[6]
웹사이트
Alfred Denis Cortot
http://en.chopin.nif[...]
2018-01-13
[7]
웹인용
Nimbus Records, Grand Piano, NI 8814, Alfred Cortot plays Chopin, Liszt, Beethoven, Skriabin Saint-Saëns & Chabrier – Booklet Note
https://web.archive.[...]
2008-04-18
[8]
서적
France The Dark Years 1940–1944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Music and the Holocaust: Cortot, Alfred
https://holocaustmus[...]
2019-11-22
[10]
간행물
Alfred Cortot et la politique musicale du gouvernement de Vichy
https://www.questia.[...]
[11]
뉴스
Alfred Cortot, Pianist, Is Dead. Soloist and Conductor, 84, Backed Vichy Regime
https://www.nytimes.[...]
1962-06-16
[12]
웹사이트
Jean Cortot
https://dianedepolig[...]
Diane de Polignac Gallery
2024-01-12
[13]
웹사이트
Category:Cortot, Alfred/Editor
https://imslp.org/wi[...]
[14]
웹사이트
Alfred Cortot
https://www.steinway[...]
2021-06-08
[15]
뉴스
The Master Speaks … and Plays
https://web.archive.[...]
The New York Sun
2021-06-08
[16]
서적
Tone Moves: A History of Piano Technique
Musikeon Books
[17]
웹사이트
Information Centre - Alfred Denis Cortot
http://chopin.nifc.p[...]
chopin.nifc.pl
2019-07-11
[18]
서적
アルフレッド・コルトー
白水社
[19]
서적
ピアニストガイド
株式会社青弓社
2006-02-10
[20]
문서
ただし、サン=サーンスは音楽院に直接関係していたわけではない
[21]
문서
これらの録音はない。
[22]
문서
コルトーの招きでEMIと専属契約したのはこれが発端。
[23]
웹사이트
コルトー・イン・ジャパン1952
https://www.hmv.co.j[...]
www.hmv.co.jp
2021-09-09
[24]
서적
アルフレッド・コルトー
白水社
[25]
문서
アメリカ演奏旅行の際にはラフマニノフのピアノ協奏曲を演奏したこともある
[26]
웹사이트
Piano Archives - Alfred Cortot and Vlado Perlemuter
http://www.musicweb-[...]
www.musicweb-international.com
2019-10-21
[27]
서적
Correspondance 1931–1965
Contrechamps
[28]
서적
40,000 Years of Music: Man in Search of Music
[29]
웹사이트
Alfred Denis Cortot
http://en.chopin.nif[...]
2018-01-13
[30]
웹인용
Nimbus Records, Grand Piano, NI 8814, Alfred Cortot plays Chopin, Liszt, Beethoven, Skriabin Saint-Saëns & Chabrier - Booklet Note
https://web.archive.[...]
2008-04-18
[31]
서적
France The Dark Years 1940–1944
Oxford University Press
[32]
웹인용
Nimbus Records, Grand Piano, NI 8814, Alfred Cortot plays Chopin, Liszt, Beethoven, Skriabin Saint-Saëns & Chabrier - Booklet Note
https://web.archive.[...]
2008-04-18
[33]
간행물
Alfred Cortot et la politique musicale du gouvernement de Vichy
https://www.questia.[...]
[34]
뉴스
Alfred Cortot, Pianist, Is Dead. Soloist and Conductor, 84, Backed Vichy Regime
https://www.nytimes.[...]
1962-06-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